

인중은 비주와 윗입술 상연 사이에 위치한 세로 홈 형태의 구조로 이 부위는 피부와 연부조직, 근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표정변화에 관여합니다. 특히 구륜근과 직결되어 있어 미소나 발음시 입술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인중길이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연부조직의 탄력감소, 피부처짐, 근육약화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인중길이는 얼굴 전체에서 단독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코, 입술, 턱과의 상대적 비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긴 인중이라 하더라도 턱 끝이 길고 입술이 두꺼우면 상대적으로 균형있는 얼굴로 보일 수 있으며 짧은 인중이라 하더라도 상부 안면이 길거나 코끝이 낮으면 얼굴 전체 밸런스가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 요소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며 전체 구조 밸런스를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인중성형이란 코끝과 윗입술 사이의 거리를 줄여 비율을 개선하는 수술적 방법을 말합니다. 특히 인중이 길게 보이는 경우, 인상이 늘어져 보이거나 나이가 들어보이는 경우 이와 같은 방법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여러 수술적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크게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거울을 보거나 정면에서 사진을 확인할 때, 코끝과 윗입술 사이가 멀게 느껴진다면 실체 측정값과 무관하게 얼굴이 긴 듯한 인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인상형성은 코의 크기, 비첨의 각도, 입술 두께 등 다양한 요소와 결합되어 결정됩니다. 즉 단순한 길이보다 주변 구조물과의 상호작용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인중주변 다른 구조물과의 비례 또한 파악해야 합니다.

인중이 길어지면 윗 입술의 붉은 부분이 위로 당겨지지 못하고, 오히려 눌리듯 아래로 늘어지면서 얇아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입술의 볼륨감이 저하되어 보이고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인상이 강화됩니다. 또한 비순부의 세로 길이가 늘어나면 하안부 전체가 길어보이면서 얼굴 비율이 무섭고 처진듯한 인상을 주게 됩니다.

안모를 상 중 하 삼등분 했을 때, 하부의 길이가 과도하게 강조되어 보이면 인중 역시 길게 인식됩니다. 특히 턱 선까지의 거리에 비해 입술 위 공간이 넓어 보이는 경우에는 하안부 전체가 늘어진 듯한 인상을 주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인중만의 문제가 아니라 하악구조, 치아배열, 턱 끝 돌출 정도와도 연관이 있으므로 인중성형을 고려하고 있다면 얼굴에 대한 디테일한 분석과정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