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자ㅣ뉴본여성의원

모든 유방통이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양상과 지속 기간에 따라 평가가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주기성과 비주기성 통증의 구분은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정하는 첫 단계로, 증상의 패턴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통은 많은 여성이 한 번쯤 겪는 흔한 증상이지만, 그 원인과 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생리 주기에 따른 일시적인 불편일 수도 있고, 구조적 문제나 병리적인 원인이 배경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유방통은 그 자체로 신체 균형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유방통은 주기성 유방통과 비주기성 유방통으로 나뉘며, 원인과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주기성 유방통은 생리 전 호르몬 변화에 따라 양쪽 가슴이 붓고 묵직해지는 통증으로, 생리 시작과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비주기성 유방통은 생리와 관계없이 나타나며, 한쪽에만 통증이 있거나 점점 심해지는 경우, 피부 변화나 멍울, 유두 분비물이 동반된다면 유방 초음파나 조직검사를 통한 정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유방통의 원인은 단일하지 않습니다. 주기성 유방통은 대부분 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비주기성 통증은 유선 낭종이나 섬유선종, 유관확장증, 유선염 등 구조적인 원인이 많습니다. 낭종은 액체가 고여 유선 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섬유선종은 유방 내에 생긴 양성 종양으로 만졌을 때 압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뉴본에서는 유방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결절, 낭종, 염증 유무를 확인합니다. 필요시 유두 분비물 검사와 유방암 표지자 검사를 병행하며,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맘모톰 생검으로 조직을 채취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며, 병변 의심 시 원내에서 시술까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유방통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기성 통증은 식습관 개선과 카페인 제한, 약물 요법으로 조절 가능하며, 낭종이 크다면 흡인이나 맘모톰으로 제거합니다. 섬유선종은 경과를 지켜보며 필요시 생검 후 제거하고, 염증성 질환은 항생제 치료와 냉찜질로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