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피부과 서면색소레이저 색소침착이 잘 생기는 피부, 따로 있다?
피부과

서면색소레이저 색소침착이 잘 생기는 피부, 따로 있다?

공유

각질층이 얇고 지질막이 취약한 피부는 외부 자극물질에 대한 방어력이 낮아 염증이 쉽게 유발됩니다. 세안제, 화장품, 마스크 착용 등에 의해 반복적으로 경미한 자극이 가해질 경우에도 표피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촉진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무증상에 가까워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으며 자각 증상 없이 색소만 남는 일이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 경구 피임약 복용,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의 호르몬 변화는 멜라닌 합성을 직접적으로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멜라노사이트의 수용체를 자극하여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로인해 대표적인 색소질환인 기미가 여성에게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게 됩니다.

기미는 흔히 양측 볼 부위, 전두부, 상순부, 턱 주변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갈색의 색소 침착성 병변입니다. 주로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가임기 및 임신, 경구 피임약 복용 후 자주 관찰됩니다. 주근깨는 소아기부터 시작하여 사춘기 전후로 두드러지는 작고 경계가 뚜렷한 갈색반점으로 얼굴을 포함한 광노출 부위에 주로 분포합니다.

대표적인 색소성 질환들은 공통적으로 피부 내 멜라닌 색소의 과잉축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레이저를 통한 개선방법의 원리는 주로 532nm, 755nm, 1064nm 등의 파장을 가지며 이 빛은 멜라닌 색소에 선택적으로 흡수됩니다. 흡수된 광에너지는 곧바로 열 에너지로 전환되며 이때 발생하는 열은 멜라닌을 포함하는 멜라노좀에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피부 두께가 얇은 부위, 예를 들어 눈가, 입술 주변, 하악선 부위 등은 동일한 방법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부위들은 혈관 밀도가 높고 피부장벽이 약해 과도한 자극 시 염증이나 색소침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위별로 에너지 밀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지성피부의 경향이 강하거나 만성적인 여드름을 앓고 있는 피부는 반복적인 염증반응에 노출되며 이 과정에서 표피와 진피 경계부에 위치한 멜라닌 세포가 자극을 받아 과활성화됩니다. 특히 구진이나 농포성 병변이 터진 부위는 국소적 손상에 의해 진피층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다른 게시글은 어떠세요?

부산MCL31,피부 속 탄력을 깨우는 레이저

피부가 스스로 회복하기 어려워질 때피부는 나이가 들수록 회복 속도가 느려지고,작은 자극에도 쉽게...

해운대실리프팅,자연스러운 동안 리프팅을 원한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얼굴에는 나이의 흔적이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피부 탄력이 줄어들고,주름이 깊으며, 얼굴선이 무너지는...

서면써마지CPT 리프팅효과

노화로 인한 탄력 저하 원인나이가 들수록 피부 속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점차 줄어듭니다.이...

센텀색소레이저 후 자외선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피부색을 결정하는 주요요인은 멜라닌이라 불리는 색소입니다. 멜라닌은 표피의 가장 아래층인 기저층에 존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