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드름이 흉터로 발전하는 이유는 단순히 피부표면의 손상 때문은 아닙니다. 이는 피부의 구조적 복합성과 염증반응, 그리고 개인별 재생능력과 같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층은 서로 다른 기능과 특징을 가집니다.
여드름이 생길 때, 문제는 단순히 피지가 모공을 막는 현상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고 모공이 막히면서 염증이 발생하면 이 염증이 진피층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진피는 피부의 두께와 탄력을 담당하는 주요부위로 이곳이 손상될 경우 흉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피부의 구조적 손상이 치유과정에서 불완전하게 복구되며 남는 흔적을 의미합니다. 염증성 여드름의 치유과정에서 진피층이 손상되며 형성되는데 이는 피부의 정상적인 복구과정이 왜곡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흉터는 다양한 형태와 깊이를 가집니다.
염증이 진피층까지 확산되면 피부의 구조적 지지체인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가 손상되며 이로 인해 피부가 치유될 때 비정상적인 형태로 복구됩니다. 특히 염증반응이 장기화되거나 심각할 수록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염증성 병변(농포, 결절, 낭종)에서 발생합니다. 염증과정은 모낭 주위로 확산되어 진피와 피하지방층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함몰성 흉터는 피부의 외형을 왜곡할 뿐만 아니라 진피층의 구조적 손상을 유발시켜 탄력성과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염증성 여드름이 발생하면 피부의 면역반응이 활성화되어 감염된 부위에 백혈구가 모여들고 염증이 진행됩니다. 이때 모낭 벽이 파괴되어 염증성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사이토카인 등이 염증을 더욱 악화시키고 주변조직에 추가적인 손상을 일으킵니다. 이 같은 과정에서 백혈구가 손상부위로 이동해 세균과 싸우는데 이때 생성되는 활성산소가 주변 건강한 조직까지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깊거나 심한 경우, 구조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함몰성 흉터가 심한 경우 피부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되어 자외선 차단 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피부의 보호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여드름 흉터치료가 필요한지의 여부는 흉터의 깊이, 형태 그리고 개인의 피부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완전히 사라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염증이 피부 깊숙이 영향을 미치면 콜라겐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되거나 정상적인 재생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함몰성 흉터나 비후성 흉터는 시간이 지나도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완전히 사라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