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방은 신체조직 외에도 지방조직과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의 비율과 탄력성은 개인차가 큽니다. 일부 여성의 경우 결합조직의 발달이 미약하거나 탄력성이 떨어지는 경우 유방의 볼륨이 덜 형성되어 성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외형적 특징으로는 유두 위치가 하방에 있거나 기저부 자체가 좁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장기간의 고농도 운동은 근육발달에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유방의 형태 유지에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마라톤, 체조, 피트니스 선수와 같이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을 지속하는 경우 체지방률이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유방조직이 위축되거나 발달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체지방과 함께 수용성 호르몬 농도 역시 감소하게 되므로 에스트로겐 수준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선하라는 용어는 말 그대로 유선조직 바로 아래 층, 즉 대흉근 위쪽의 피막 공간에 보형물을 위치시키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피부 아래 유방조직과대흉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보형물을 적용하는 방법이며 근육하 삽입법은 대흉근 하부 또는 그 주변 구조 아래에 적용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보형물이 위치하게 되는 인체구조는 크게 세 가지 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피부 및 피하지방, 유선조직, 대흉근 및 근막층.
이중평면법은 상부에서는 보형물이 근육 아래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보형물이 근육과 유선조직 사이를 분할하여 자리를 잡기 때문에 이중평면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입니다.

이전에 유방확대술, 축소술, 지방이식 혹은 종양제거술 등의 수술을 받으신 경험이 있으시다면 해당 이력은 피막형성의 유무, 조직의 유착상태, 절개부위의 흉터형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다수의 여성분들께서 어느정도 비대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좌우 유방의 차이가 현저하거나 유두 위치가 과도하게 하강해있거나 높이가 다를 경우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유방 초음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비정상 병변의 선별입니다. 유방 조직 내의 밀도 차이를 감지하여 낭성 변화(물혹), 섬유선종, 석회화, 미세 종괴 등 육안으로는 구별할 수 없는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체로 현재 통증이 없다고 하더라도 확인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