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갈색점으로 일컫는 색소침착은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기미와 주근깨로 나뉘며, 특징과 발생기전에서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기미는 주로 여성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색소성 질환으로 얼굴의 광범위한 부위에 비대칭적, 대칭적 갈색 반점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흔히 볼, 이마, 코, 상순 주변 등 햇빛 노출이 많은 부위에 집중됩니다. 이와 같은 발생에는 호르몬 변화, 유전적 요인, 자외선 노출, 피부 염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멜라닌의 비밀 : 색소침착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멜라닌은 피부의 기처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 생체 색소로 주로 자외선으로부터 진피와 표피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합성과 분포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거나, 특정 부위에 불균형적으로 축적될 경우 피부 표면에 색소침착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기미
주로 호르몬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임신, 경구피임약, 폐경기 전후 여성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UV(자외선)노출, 피부자극, 유전적 요인도 기미 발생에 영향을 줍니다.
주근깨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주로 어린 시절부터 나타나며, 자외선에 의해 악화됩니다.
피부타입이 밝고, 멜라닌 색소가 국소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흔합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층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서로 다른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레이저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레이저토닝에서 사용되는 빛은 멜라닌 색소에 대한 흡수율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진피에 도달한 빛은 멜라닌 입자에 흡수되어 미세한 열 변화를 일으키며, 분해된 색소는 림프계를 통해 배출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피하층의 지방층은 레이저 에너지를 흡수하기보다는 열 확산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색소 제거 과정에서 피부 깊숙한 부위에 미세한 온도 상승을 제공하여 혈액 순환과 대사를 촉진합니다.

표피층은 일시적으로 손상된 상태이며, 각질 제거, 스크럽, 압출 등의 기계적 자극을 받으면 미세 손상이 악화되어 염증 반응이 증가하고 색소 침착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는 열 자극에 민감하며, 고온 환경에 노출될 경우 혈관 확장과 염증 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색소 침착의 재발을 유발하거나 홍조, 부종 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