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굴이 길어보인다는 느낌은 수직적 길이 만을 의미하지 않고, 여러 해부학적 구조들이 만들어내는 비례적 균형의 상실을 내포합니다. 그 중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는 부분이 바로 인중입니다. 이와 같은 부위가 길게 보이거나 형태적 조화가 깨질 경우, 전체 안모 비율이 왜곡되어 얼굴이 마치 늘어진 듯 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인중은 얼굴 중앙부, 즉 비첨부와 상순부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적 함몰 부위를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코끝에서부터 윗 입술 경계까지 이어지는 좁고 오목한 선형 구조로 관찰됩니다. 특히 상순부의 외측에는 인중능선이라 불리는 양측의 융기가 위치하여, 중앙부의 함몰된 부위인 인중과 구획됩니다. 이 구조적 대비는 상순의 입체감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비첨부에서 상순까지의 거리가 과도하게 길게 나타나는 경우를 긴 인중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안모의 하부가 늘어진 듯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노화와 관련된 징후 중 하나로도 관찰됩니다. 인중이 길게 형성된 경우, 입술과 코 사이의 비율이 불균형해져 보이기도 합니다.

외측 인중 축소술은 인중의 중앙부보다는 양쪽 기둥 부위, 즉 인중능선 주변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시행됩니다. 이 수술법의 방법은 중 전체의 폭과 윤곽을 조율하는 데 있습니다. 양측 경계를 따라 불필요한 연부조직을 일부 절제하고 봉합함으로써, 인중의 외연부를 개선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 부위는 상순의 경계에 해당하며, 코 기저부의 곡선과 콧망울의 외곽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부위는 인중 축소 등 다양한 수술적 접근에서 고려해야 하는 지점입니다. 개인 별 비순부 구조, 콧구멍 기저의 형태학적 특성, 연부조직의 두께, 그리고 교정 범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인중이 길어 보이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그 부위만을 축소하는 수술적 방법을 고려하시지만, 실제로는 해당 부위만 단독으로 줄였을 때 원했던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입술과 치조골, 하악부, 심지어는 비주와 비익의 형태까지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요소들도 함께 파악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