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중이 길다는 것은 코 기저부에서 상순까지의 수직거리가 얼굴 전체 비율 대비 과도하게 증가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부위의 길이가 길어지면 실제 얼굴의 구조적 길이가 크지 않더라도 시각적 인상에서는 얼굴이 늘어지고 평면화된 느낌을 주게 됩니다. 이처럼 얼굴의 세로축에서 시각적 중심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길이에 따라 전체 인상과 표정의 해석이 크게 달라집니다.

인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얼굴 중앙이 평면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콧대나 턱선의 곡선이 상대적으로 약화됩니다. 이로 인해 얼굴 전체의 윤곽이 평평해지고, 측면에서도 볼륨이 부족한 상태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세한 길이 차이만으로도 얼굴의 전체적인 구조 인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각적 왜곡으로 인해 중안면이 불균형하게 확대되어 전체적인 균형이 깨져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짧은 인중은 코 밑과 상순 사이의 거리가 짧으며, 인중 홈이 완만하거나 얕은 형태를 보입니다. 이 경우 입술이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짧으면 입술이 들려 보이거나 치아 노출이 과해져 부자연스러운 표정을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넓은 인중은 인중의 폭이 넓어, 양쪽 콧구멍과 입술 끝 사이의 간격이 크게 보이는 형태입니다.

인중의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면 얼굴의 세로 비율이 불균형해지고, 입체감이 떨어지며, 표정이 무표정하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술적 방법은 내측인중축소와 외측인중축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두 수술법은 모두 코 밑에서 상순까지의 거리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절개 위치와 접근 방향, 교정 범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개인의 안면 구조에 따라 고려해보어야 합니다.

외측 접근은 인중 양쪽의 피부 경계를 따라 절개를 가한 뒤, 길이를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축소를 계획하기 전에는 단순히 길이를 줄이는 접근보다 얼굴전체의 비율, 표정 근육의 움직임, 입술 위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중은 얼굴 중심의 시각적 축을 형성하는 부위로, 그 길이와 형태가 조금만 변해도 인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중 길이 비율
얼굴을 상·중·하 세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하부(인중~턱끝)의 비율이 과도하게 길면 얼굴이 늘어져 보이는 인상이 생깁니다.
코 끝과 인중 거리
코끝에서 인중까지의 수직 거리 또한 비례 판단의 중요한 기준입니다.
코끝이 낮거나 코기저부가 처져 있으면 인중이 길어 보이는 시각적 착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