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수술을 결심하게 되는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자리합니다. 초기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방의 모양이 의도와 다르게 변화하거나 대칭성이 맞지 않는 느낌을 받는 경우, 혹은 피부의 처짐이나 보형물 위치의 이탈 등 외형상의 문제들이 점차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심미적인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염두해 두는 동기는 개별적으로 상이하지만 보형물에 대한 이물감, 만성적인 불쾌감, 촉감의 이상, 피막형성과 같은 해부학적 등 기능적 문제등으로 인해 재수술을 고심하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직상태의 경과, 피부 신장성, 흉터의 위치, 피막의 두께, 이전 삽입물의 특성을 다각도로 파악해야 합니다.

구형구축이란, 삽입된 보형물을 인체가 이물질로 인식하면서 섬유성 피막이 과도하게 두꺼워지거나 수축되어 내부공간을 압박하는 병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보형물 주변에 형성된 연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유방형태의 왜곡, 촉감의 변화, 심한경우 기능적 불편까지 유발할 수 있는 상태로 이어집니다.

① 1단계 (Grade I)
촉감이나 모양에 이상 없음
② 2단계 (Grade II)
가슴이 약간 단단해진 느낌이 있으나 외관상 큰 변화는 없음
가벼운 불편감이나 미세한 단단함 존재 가능
③ 3단계 (Grade III)
뚜렷한 단단함과 함께 가슴 모양이 변형됨
④ 4단계 (Grade IV)
매우 딱딱하고 단단한 가슴, 보형물이 심하게 압박받는 상태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음

최초 수술을 통해 한 차례 외과적 절개와 박리가 이루어진 조직은 정상상태와 달리, 탄력저하, 혈류순환의 변화, 섬유화 진행 등 다양한 조직학적 변화를 겪게 됩니다. 유선조직 및 피하지방층의 상태 역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선행수술로 인해 유방 실질 조직이 위축되었거나 흉터조직화가 진행되어 연부조직의 유연성이 저하된 경우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중평면 삽입 기법은 보형물을 대흉근과 유선조직 사이에 배치하는 수술법으로 상부는 근육층 아래에 위치시키고 하부는 유방 실질과 맞닿아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삽입 위치는 근육층과 연조직 사이에 분리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