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부조직의 해부학적 구조 중에서도 SMAS는 안면윤곽과 탄력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피부, 피하지방층, 그리고 근육층 사이에 위치한 섬유성-근막성 조직으로 얼굴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기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중안면부와 하악선 주변에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하지만 연령증가와 더불어 여러원인들로 인해 섬유조직의 밀도 또한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태의 노화징후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안면의 입체감을 유지하던 중안면 볼륨 역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볼의 중심부위가 함몰되고 광대 아래로 음영이 생기게 됩니다. 이는 얼굴의 상하 비율을 변화시키며 전반적인 이미지에 무게감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조직이 중력에 대항하지 못하고 이완됨에 따라 턱 선이 무너지고 흐릿해지면 결과적으로 하안면부의 경계가 불분명해집니다.

이마 부위는 안면 상부의 넓은 곡면을 이루며 미간 근육과 전두근의 수축활동이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부위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해당 부위의 연부조직과 근막층의 탄성이 감소하면서 이로인해 눈썹의 기준선이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됩니다.

실은 연면의 처짐 축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위치는 주로 피하하층 또는 피하지방층이며 경우에 따라 smas 위에 놓이기도 합니다. 삽입은 단순히 경로를 따라 밀어넣는 것이 아니라 방향성 있는 구조를 따라 조직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얼굴 비대칭 여부, 피부의 연부조직의 탄력 저하 정도, 그리고 방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얼굴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 각 부위별 개별적 처짐 양상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진입점의 위치또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위치는 처짐의 정도에 따라 견인방향을 다르게 설정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헤어라인 근처나 귀 앞쪽 등에 형성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온열 자극에 노출되는 사우나, 찜질방, 고온욕탕 등은 혈관확장과 조직 부종을 유발하여 조직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 회복기에는 열로 인한 국소 염증이 증촉되어 부종과 통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강한 압박이나 물리적 자극을 피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