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술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무의식적인 감정반응을 드러내는데 사용됩니다. 이를테면 누군가가 발언 전 입술을 살짝 오므리거나 핥는 행동은 긴장 또는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으며 입꼬리를 한쪽만 들어올리는 미세표정은 비판적이거나 경계하는 듯한 감정상태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무의적으로 나타나는 이러한 움직임과 형태는 단순한 생리적 반응을 넘어 사회적 맥락속에서도 다양한 정서신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젊음을 잃어가는 입술, 그 시작을 알리는 징후들
안면부 피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각질층이 얇고 멜라닌 세포의 밀도가 낮은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상순과 하순 또는 입술 주변부에는 세로 방향의 미세한 잔주름이 생기며 이를 정중주름이라고도 합니다. 이 부위는 일상적인 표정변화나 반복적인 구순운동에 많이 노출됩니다.

두께는 유전적 요소에 의해 선천적으로 결정되나 후천적으로는 피부탄력도 감소, 피하지방 위축, 콜라겐 감소 등으로 인해 점차 얇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필러는 널리 사용되는 입술개선방법 중 하나로 주로 히알루론산 기반의 생체적합성 물질이 기반이 됩니다. 이 물질은 인체 내에서도 존재하는 성분이기도 합니다. 주입량을 조절하여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비율을 맞추거나 라인의 윤곽이나 볼륨을 개선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비대칭형 입술은 상하입술의 두께가 유사하더라도 좌우의 길이, 볼륨, 높이 등이 불균형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대칭은 구순근의 불균형적인 발달, 외상에 의한 반흔, 치아 또는 턱 뼈의 구조 이상 등의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비대칭의 정도가 심할 경우 안면 중심선과 일치하지 않은 위치에서 입술이 위치하게 되어 기능적문제(발음, 저작장애)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입술의 동적움직임은 주로 구륜근과 이를 보조하는 협근, 구각거근, 구각하강근 등의 근육들이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근육들은 제 7뇌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감정상태에 따라 수축정도와 패턴이 달라집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히 말하기나 식사와 같은 기능을 넘어 얼굴의 전체적인 비율과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부위이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