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령증가와 함께 SMAS층 내 콜라겐의 변성, 근막의 점탄성 저하, 지방층과의 연결 약화 등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부는 점차 구조적 지지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확산됩니다.
- 중앙면부의 볼륨 하강 및 평면화
- 턱 선의 불분명화 및 처짐
- 광경근의 분리 및 목 부위의 밴딩현상 등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표피 탄력저하 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SMAS층의 약화하는 본질적인 상태를 내포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미간 부위에서는 주로 추미근과 전두근의 활동으로 인해 수직방향의 라인이 뚜렷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표정근육의 과사용에 의한 동적 주름에서 시작되어 반복되는 표정습관으로 인해 정적인 주름으로 고정됩니다. 하안면부에서는 하악골의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턱 및 지방의 축적 및 이중턱 형성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현상은 광대뼈 아래의 볼륨이 줄어드는 동시에 얼굴 광대라인이 도드라져 보이는 결과를 낳습니다.

SMAS층은 관자부위, 협부, 하악각 심지어 경부까지 안면의 다양한 해부학적 부위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성을 통해 안면근육의 수축이나 이완 시 피부가 균형잡힌 움직임을 보이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면의 표정표현뿐만 아니라 정적인 윤곽유지에도 관여하는 이중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음파 리프팅은 특정 주파수의 에너지를 피부 속 깊은 조직에 집속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에너지는 표피와 진피를 통과하여 3.0mm 또는 4.5mm 깊이에 있는 표적부위에 국소적인 열 반응을 일으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음파가 조직 내부에 도달하면 마치 돋보기로 햇빛을 한 점에 모으듯 초점 부위에만 고온의 열 응고 반응을 유도합니다. 초음파 에너지가 한 점에 집중될 경우 해당부위는 약 60-70도의 고열로 순간적인 열 응고가 발생합니다. 이열은 단순한 온열효과를 넘어 해당 조직의 수축과 재배열을 유도하게 되는 기전입니다.

노화는 단일층에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표피, 진피, 피하지방, 근막, 심부근육 층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으로 진행됩니다. 그 중에서도 smas층은 피부 외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지지층이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중안면의 지방과 근막이 내려앉으며 팔자주름이 더욱 깊어지기도 하고 턱 라래 연부조직이 중력방향으로 밀집되어 지방이 축적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