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마의 볼륨은 주로 전두골 전면부의 돌출정도와 그 위에 분포한 연부조직의 두께에 의해 결정됩니다. 골격이 완만하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하지방이 고르게 분포된 경우, 입체적인 곡선을 이루게 됩니다. 반면 전두골의 형성각도가 낮거나 피하지방층이 얇은 경우에는 이마 중앙부가 함몰되어 보이는 이른바 꺼진 이마형태가 나타납니다.

근육 구조와 움직임 역시 이마 모양에 영향을 줍니다. 전두근은 표정을 만들 때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으로, 과도한 사용 시 피부를 지속적으로 당겨 이마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거나 패인듯한 형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근육의 위축되면 피부와 지방층 변화가 더욱 도드라져 이마가 꺼져 보이는 현상이 심화됩니다.

평면형은 이마의 중앙부가 거의 돌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전두골의 전면부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주로 남성에게서 자주 관찰되며 이마의 볼륨이 적은 대신 단단하고 강인한 인상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얼굴 상부가 입체감이 없어 보이거나 측면에서 볼때 이마와 미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이목구비가 평면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마 부위는 피부층이 얇고 근육의 움직임 활발하기 때문에 연령, 표정, 골격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나타납니다. 꺼짐 또는 울퉁불퉁한 라인은 이마의 피하지방이 부족하거나 전두골의 함몰로 인해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 이마필러의 방법을 통해 입체감을 개선하고 라인의 굴곡을 정돈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마는 단일 평면이 아니라 곡률, 경사, 입체감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구조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이마필러를 적용하기 보단, 개인의 골격적 특징과 얼굴 비례를 고려한 사전 디자인 과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마는 단단한 곡선을 이루는 구조이지만 인중이나 코, 턱선과 같은 하안면 요소들과 시각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경사각은 옆광대, 미간, 코끝과의 연결선을 기준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설계가 입체감에 큰 기여를 합니다.

✔️볼륨이 부족한 경우
이마 중앙부가 납작하거나 양측이 평평한 경우에는 얼굴 상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부족해보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와 눈이 돌출되어 보이거나, 전체적인 인상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연령변화로 인한 볼륨감소
노화과정에서 전두골 전면의 피하지방과 근막층이 위축되며 이마의 볼륨이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평평해지고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댓글